스킵 네비게이션


출판 하위메뉴

출판

  •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걷다> 시리즈
    • 전주동헌
    • 완판본
    • 선비의길
    • 3인의 서예가
    • 전주비빔밥
    • 전주향교
    • 풍류
    • 향수를 안고 걷는 마을
    • 동학농민혁명이야기
    • 일제 강점기 전주의 아픈 기억을 더듬다
    • 감영을 품은 전주한옥마을
    • 한국의 맛, 전주의 맛
    • 유일본 전주사고 조선왕조실록과 어진을 지킨 전주 전북인
  • 고전 번역서 및 기타

연수원일정


한국의 맛, 전주의 맛

목차

전주 한정식의 근원, 전라감영 관찰사 밥상

    1) 전라감영 관찰사의 진짓상이 나오기까지
       전라감영 음식이 전주 음식의 원형이 되다···14
       전라감사 유희춘이 전주 음식에 대한 기록을 남기다···18
       이하곤이 전라감영의 음식을 평하다···22
    2) 1884년, 전라감영에서 차려낸 외국인 접대상
       주한미국공사관 조지 클레이턴 포크는 누구인가···24
       포크는 스파이다···25
       조선인과 미국인이 2박 3일 동안 먹고 마시다···29
       포크에게도 관찰사 밥상 이상은 내주지 않았다···32
       작은 왕국, 전라감영에서 연회를 펼치다···34
       포크 일기가 지닌 가치···36

천년 고도古都 음식의 시원 제사 음식

    1) 음식으로서 예를 다하는 경기전
       음식으로서 예를 다하는 경기전
       경기전의(慶基殿儀)』에 담긴 경기전 제례···39
       경기전은 제례 공간이다···43
       어떤 제물이 올라가나?(제물등록祭物謄錄)···45
       이하곤의 눈에 비친 경기전 어정···50
    2) 향교 석전대제
       전주향교 석전대제의 의미···52
       두 번 피는 꽃, 석전대제···54
       석전 제례 준비···55
       재계齋戒···56
       습의習儀···57
       『禮書』에 기록된 대로 제물의 진설···57
       석전 제구···60

개미진 전주 음식

    1) 전주는 왜 맛의 고장인가?
       넉넉한 소금으로 발달된 발효 음식···66
       손맛부터 다른 전주 아낙네들···70
       전주십미全州十味는 언제, 누가, 왜?···71
       혼례 음식이 발달한 전주···76
    2) 개미지다
       전주 음식의 개미를 찾아서···79
       화룡점정, 고명이 발달된 전주 음식···81
       역시 다른, 전주 음식···84

전주의 푸진 맛

    1) 비빔밥이 아니라, 전주비빔밥
       입 사치 음식이 대중 음식으로···88
       결론은 비빔밥 그리고 전주비빔밥···90
       특허로 보호를 받는 전주비빔밥, 비비미···92
       낭창낭창하면서도 탱탱한 황포묵···95
    2) 비빔밥의 뿌리를 찾아서
       골동갱骨董羹···97
       혼돈반混沌飯···99
       골동骨董, 골동반骨董飯···99
       한글로 표기된 '부븸밥‘···103
    3) 모두 즐기는 전주 음식
       음식 축제, 축제와 음식···105
       전주 음식은 멋을 아는 풍류의 맛이다···109
       덤으로 정을 나누는 전주 시장 풍경···110
       전주, 막걸리로 인심을 베풀다···114
       가맥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다···116

세계가 인정한 전주 맛

    1) 전주 음식의 맛을 찾다
       『완산지完山誌』에 기록된 전주 음식···120
       『완영일록完營日錄』에 기록된 전주 음식···122
       일제강점기 잡지, 『별건곤』에 기록된 전주 음식···124
       『전주부사全州府史』에 기록된 전주 음식···125
       한류, 먹방, K-food, K-diet까지···127
       한국음식은 무엇이 다른가?···131
    2) 전주는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다
       유네스코에서 가장 큰 활약을 보여 주는 나라···134
       시민과 함께하는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 전주···136
       음식문화가 발전해 나가는 전주···138

책소개

『세종실록지리지』는 1424년(세종 6)에 시작하여 1454년(단종 2)에 완성된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의 제148권에서 제155권까지 8권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다. 전국 8도를 다시 334개 고을로 나누어 자세히 기록해 두었다.
전라도는 전라도, 전주부, 나주목, 남원 도호부, 장흥 도호부, 제주 목으로 나뉘어 있고, 지방관의 등급과 인원, 연혁, 고을의 별호, 속현과 그 연혁, 진산과 명산대천, 고을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 호구(속현도 따로 기재)와 군정의 수, 성씨(속현도 따로 기재), 토질과 전결(田結), 토의(土宜), 토공(土貢), 약재(藥材), 토산(土産), 누대, 역, 봉수, 산성, 제언(堤堰), 사찰 등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다.
반상(飯床)이란 평소에 차리는 밥이 주식이 되고 반찬이 부식이 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일상식 상차림을 의미한다.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서 3첩, 5첩, 7첩, 9첩 반상과 12첩 수라상이 있다. '첩'은 밥, 국, 김치, 장, 찌개, 찜, 전골 외에 반찬을 담는 작은 접시인 쟁첩에 담는 반찬을 의미하며 그 수에 따라 첩의 수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