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가 선비를 만나는 의례 - 사상견례(士相見禮)
선비들이 공식적으로 서로 만나 인사하는 의례이다. 『의례(儀禮)』「사상견례」편에 의하면 사(士)와 사가 상견하는 예, 사가 대부(大夫)를 보는 일, 대부ㆍ사ㆍ서인(庶人)이 군주를 보는 일, 군주가 사적으로 회견하는 일, 사임한 경대부(卿大夫)가 사를 보는 일, 군주의 명령에 의해 사신으로 갔을 때 칭위(稱謂)와 집폐(執幣)의 예 등, 14가지 상견례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대등한 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므로 신분ㆍ연령의 차이 등은 특별히 고려되지 않는다.
사상견례의 기본 절차
- 청견 : 손님이 폐백을 가지고 주인의 집을 찾아가 자기의 신분을 밝히고 만나고자 하는 사유를 전한다.
- 전지 : 손님이 시종을 통하여 폐백을 주인에게 전한다.
- 반견 : 시종이 손님을 안으로 인도한 뒤 주인과 손님이 인사를 나누고 자리를 정해서 앉는다.
- 연례 : 주인이 음식을 내어 손님을 접대한다.
- 빈출 : 용무가 끝나면 주인은 손님을 전송한다.
- 환지 : 주인의 폐백을 보내 찾아준 고마움에 사례한다.
- 찾아온 목적이 있으면 먼저 말한다.
- 상대방의 관심사와 시의 적절한 담론을 한다.
- 시시면 중시포 졸시면(始視面 中視抱 卒視面) 처음 말을 시작하면 상대방 안색을 살펴 말을 해도 되는지 알아보고 중간엔 상대방 목, 흉부, 허리 부위 사이를 바라보면서 말을 하여 어른의 얼굴이나 눈을 똑바로 보지 않는다.
끝으로 말을 다하고 상대방의 얼굴을 살펴 자신의 말을 어른이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살핀다.
- 사(士)가 서로 만나는 예에는 꿩(雉,치)을 쓴다. 절개를 지키고 나쁜 짓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취한 것이다.
- 하대부가 서로 만나는 예에는 기러기(雁,안)를 쓴다. 때를 알고 날며 끼리끼리 행렬을 이루는 것을 자신들의 만남에 비유한 것이다.
- 상대부가 서로 만나는 예에는 염소(羔,고)를 예물로 쓴다. 염소는 우두머리를 좇아 무리를 짓되 편을 가르지 않기 때문에 그 뜻을 취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남아 있는 사상견례의 흔적
- 예의로 두 번 사양하고 허락하는 것을 고사(固辭)라 한다.
- 윗사람을 찾아뵐 때 예물을 지니고 가며 보통은 답례가 있다.
- 대화 중 하품이나 기지개를 펴면 물러 나와야 한다.
- 당 아래로 나와 신발을 신을 때도 우선 대충 신고 후미진 곳에서 바로 신는다.
- 아랫사람이 먼저 인사하고 더 많은 횟수를 하고 윗사람은 상대방 신분에 따라 예를 표하고 답례한다.